목록경제 (4)
알파퓨쳐스탁

이번에는 경기순환에 관한 지표이다. 주요지표는 크게 생산측면에서 본 국내총생산, ISM(비)제조업지수, 내구재주문이 있고, 지출측면에서는 어제 발표된 소매판매 지수가 있다. 국내 총생산(GDP)(★★★) 경기순환에 관한 가장 대표적인 지표는 국내총생산(GDP)이다. 미국 경제의 건전성을 다루는 으뜸가는 보고서로서, 국내총생산은 경제 성장이 얼마나 빠르게 또는 느리게 진행되고 있는지를 측정한다. 시장 민감도(중요도) 높음 발표시기 1월,4월,7월,10월의 마지막주에 발표 발표빈도 분기별 작성기관 미 상무국 산하 경제분석국 웹사이트 주소 www.bea.gov 국내총생산은 모든 경제지표들의 모체이며 매분기마다 발표되는 통계자료중에서 가장 중요한 가치를 가진다. 국내총생산을 관찰해야 하는 까닭은 이 지수..

【 파동 이해하기 - 다우이론 】 1. 강세 3국면 : 매집-호황-과열 • 매집국면(강세 1국면) - 오랫동안 지속된 약세시장에 일반 투자자들의 투매가 일어나는 과정 - 반대로 이러한 실망매물을 서서히 매집하며 사들이는 시기 - 실망매물의 출현과 이를 매집하는 과정에서 거래량이 점점 증가한다 • 호황국면(강세 2국면) - 일반 투자자들의 관심이 늘어나 주가가 상승하는 시기 - 기술적 분석으로 수익을 내기 좋은 시기 - 호재에 민감하고 악재에 둔감하게 반응하는 시기 • 과열국면(강세 3국면) - 시장이 고조(과열)된 시기 - 일반투자자들의 기대심리에 따른 추매로 시장이 과열 - 상투를 조심해야 되는 시기 2. 약세 3국면 : 분산-공황-침체 • 분산국면(약세 1국면) - 전문 투자자들이 시장 과열을 감지하..

선물은 미래의 일정 시점에 가격을 미리 정하기 위한 매매로 현재 시점에서 약정하는 거래를 말함. 즉, 미래의 가치를 사고파는 것입니다. 선물은 주식에서 파생한 금융 상품입니다. 선물은 현물(주식)을 기준으로 미래의 가격변동을 미리 예측하여 수익을 창출하거나 위험을 회피하고자 하는 매매입니다. 파생상품의 가장 큰 목적은 투자수익과 위험회피 (Risk Hedge, 리스크헷지) 입니다. 파생상품투자는 위험회피와 높은 레버러지로 인해 높은 투자수익을 안겨줄 수 있습니다. 반면 잘못 된 투자를 하게되면 투자 자산이 높은 위험에 노출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렇다고 항상 높은 투자 위험에 노출되는 것은 아닙니다. 파생상품은 일반 기초자산 투자 보다 높은 고수익을 창출 할 수 있는 수..

통화 파생상품거래의 도입은 1972년 CME의 국제통화시장부문에서 첫 거래가 시작되었고, 1973년 고정환율체제인 브레튼우즈 체제가 완전히 붕괴되면서 환율이 시장원칙에 따라 변동함으로써 통화파생상품거래량은 급속도로 증가했습니다. 통화파생상품은 1970년대 후반 금리 및 환율 변동의 불안정성이 더욱 증대되면서 기관투자가들뿐만 아니라 개인, 일반기업들에 의해 헤지 및 투자수단으로 활용되어 현재는 환율 변동에 대한 헤지수단으로서 그 활용도와 역할이 크게 부각되고 있습니다. 가격변동 요인 1) 경제적 요인 : 금리 및 인플레이션, 무역 및 경상 수지, 고용 및 경기 상황 등 그 나라의 경제 상황을 반영하는 각종 경제지표의 변화 2) 정치적 요인 : 통상 마찰로 인한 환율 전쟁과 그에 따른 환율 압박, 테러나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