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엘리어트파동 (4)
알파퓨쳐스탁

【 파동 이해하기 - 그랜빌의 법칙 】 그랜빌의 8법칙 주가와 이동평균선을 이용하여 매수시점과 매도시점을 파악할 수 있는 8가지의 투자전략 (그랜빌은 200일 이동평균선을 중심으로 설명) - ‘관성의 법칙’과 ‘회귀성’이라는 과학적 근거를 가지고 있는 그랜빌의 법칙은 이동 평균선 기법의 기초 ⑴ 매수 신호 ① 이동평균선이 하락한 뒤 보합이나 상승국면으로 진입할 때 주가가 이를 뚫고 위로 올라가는 경우 ② 이동평균선이 상승하고 있을 때 주가가 이동평균선 아래로 하락하는 경우 ③ 주가가 이동평균선 위에 있을 때 이동평균선을 향해 하락하다가 다시 상승하는 경우 ④ 주가가 이동평균선 아래에서 급속히 하락하다가 이동평균선에 다가갈 때 ⑵ 매도 신호 ⑤ 이동평균선이 상승한 뒤 평행 또는 하락으로 전환되는 국면에서 ..

※ 교번의 원칙(The Rule of Alternation) : 연속해서 두 번 똑같이 변하지 않는다는 의미 교번의 원칙은 앞으로 무엇이 나타날 것인가를 정확히 알려주는 것이 아니라, “어떤 것이 나타나지 않을 것이다” 라는 것을 알려준다. 조정 패턴은 교대로 나타는 경향이 있다. -금융시장의 기술적 분석_P355 - ※ 경로(Channeling) 장기 추세에 대한 경로선을 그리려면 산술차트와 함께 Semi-Log 차트를 사용하면 된다. “엘리엇은 목표가격에 도달하기 위한 방법으로, 그리고 파동이 완성된다는 확신을 주기 위하여 가격경로를 사용하였다. 만약 파동 3이 위쪽 경계선을 능가하게 되면... 다시 그려져야 한다.“ -금융시장의 기술적 분석_P356 - ※ 주식과 상품선물에 적용되는 엘리엇 파동이론..

※ 조정파의 지그재그, 평면, 삼각형 그리고 혼합형 충격파동은 그 형태가 분명하게 나타나는 것이 일반적이며, 조정파동은 분명하지 않고 복잡한 형태로 나타난다. 조정파동은 3개의 파동으로만 구성된다. ⑴ 지그재그 Zig-Zags : 5-3-5 파동으로 구성, 주추세에 역행한다. ⑵ 평면 flats : 3-3-5파로 형성되는 보합패턴, 일반적으로 평면은 조정이라기 보다는 오히려 강화이고, 강세시장에서는 힘(세력)의 신호로 간주된다. ⑶ 삼각형 Triangle : 3-3-3-3-3파로 5번의 등락을 보이는 패턴이다. 상승삼각패턴, 하락삼각패턴, 이등변삼각패턴, 확산 삼각형패턴 등 4종으로 주로 구성된다. ⑷ 혼합형 : 지그재그와 플랫 태반이 서로 혼합되어 나타나는 형태이다. 혼합파동은 7개 파와 11개의 파로..

【 파동 이해하기 - Ⅰ. 엘리어트 파동-2 】 4. 엘리어트 각 파동의 특징 ※ 기본패턴 상승5파 하락3파 = 8 - 주파동(impulse waves) : Motive Waves - 조정파(corrective waves) : (ZigZag, flats, triangles) Waves ⑴ 상승5파 ① 1번 파동 : 추세가 전환되는 시점, 이제까지의 추세가 끝나고 새로운 추세가 시작, 5개의 파동중 가장 짧다. (1번 파동은 충격 파동이므로 반드시 5개 파동으로 구성됨) ② 2번 파동 : 조정 파동으로 1번 파동의 38.2% 또는 61.8% 비율만큼 되돌리는 경향이 높다. 1번과 2번 파동은 이중바닥형의 두 번째 바닥이나 역 헤드 앤 숄더 패턴의 오른쪽 어깨를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③ 3번 파동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