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파퓨쳐스탁
패턴 이해하기 - 추세 반전형 패턴 본문
【 패턴 이해하기 - Ⅰ.추세 반전형 패턴 】
패턴분석이란...과거 자료를 토대로 여러가지 주가 모형을 미리 정형화 시켜놓고
주가가 실제 모형과 같은 패턴을 나타낼 때 그와 비슷한 과정을 거칠 것이라는 가정분석입니다.
과거에 나타났던 패턴이 미래에도 나타난다는 보장은 없으나,
경험으로 높은 확률을 보였으므로 몇가지 단점에도 불구하고 보편적으로 이용됩니다.
1. 머리어깨형(head & shoulder), 역 머리어깨형(inverted head & shoulder)
머리어깨형 패턴은 상승 추세에서 하락추세로 전환되는 일반적인 반전형 패턴 중 하나이며 가장 신뢰도가 높은 패턴중 하나이다. 이 패턴은 상승추세의 마지막에 세 개의 고점을 형성한 뒤 가격이 하락 하는 것이 특징이며,
가운데가 가장 높은 고점을 머리, 그리고 다소 낮은 좌우의 고점을 어깨라고 부른다.
각각의 고점 사이의 저점을 연결한 지지선을 넥라인(neckline)이라고 한다.
역머리어깨형 패턴은 반대로 세 개의 바닥을 형성한 뒤 상승세로 반전하는 패턴.
2. 이중 천정형(Double top), 이중 바닥형(Double bottom)
M자형 패턴으로 이전 고점을 뚫지 못하고 하락하는 패턴으로 이중천정형 혹은 쌍봉 패턴으로 부르며 하락 추세로 전환하는 패턴.
이중바닥형 패턴은 두 번의 저점을 형성한뒤 상승 추세로 전환하는 패턴.
3. 삼중 천정형(Triple Top), 삼중 바닥형(Triple Bottom)
삼중 천정형 패턴은 세 개의 고점을 형성한 뒤 이상 상승하지 못하고 하락세로 반전하는 머리어깨형의 변형 패턴,
세 번 이상의 시도로도 저항선을 돌파하지 못하고 무너지게 되면 이는 강력한 매도 신호.
삼중바닥형 패턴은 위와 반대로 세 개의 저점을 형성한 뒤 상승세로 전환하는 강력한 매수 신호
4. 원형 천정형(Rounded Top), 원형 바닥형(Rounded Bottom)
원형 천정형은 일명 접시형이라고도 부르는데 주가가 서서히 하락세로 전환하려고 할 때 나타나는 패턴으로 정확성이 높아서 좋은 패턴 모양입니다.
원형 바닥형 또한 서서히 상승세로 전환하려는 패턴으로서 쉽고 성공할 확률이 높은 패턴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패턴의 완성도를 볼 수 있는 형태로 상향 돌파시 거래량이 눈에 띄게 급증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5. 상승 V자형(V-formation), 역 V자형(Inverted V-formation)
V자형 패턴은 가격의 급락 이후 급 반등하여 곧바로 원점을 회복하는 패턴, 형성기간이 매우 짧고 급작스럽게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 패턴 이해하기 - Ⅱ.추세 지속형 패턴-1】
현재 추세의 진행과정 속에서 일시적인 조정의 결과로 나타나는 패턴으로 삼각형, 확장형, 깃발형, 쇄기형, 직사각형 모형 들이 있다.
⑴ 삼각형 : 대칭형, 상승형, 하락형의 3가지 형태가 있다.
① 대칭삼각형 : 서로 만나는 2개의 추세선을 가지며, 위쪽 추세선은 하락하고 아래쪽 추세선은 상승하고 있다.
② 상승삼각형 : 윗선은 평행하고 아랫선은 상향, 윗선이 돌파되어야 완성되며, 목표치는 A-B 높이측정 후 돌파점 C에서 위쪽으로 투사한다.
③ 하락삼각형 : 아랫선은 평행하고 윗선은 하향, 아랫선이 돌파되어야 완성되며, 목표치는 A-B 높이측정 후 돌파점 C에서 아래로 투사한다.
● 확장형 : 삼각형의 변종으로 매우 드물게 발생하며 확장삼각형은 일반적으로 위쪽에서 나타난다.
두 번째 저점(4번)의 돌파로 이 패턴은 완성된다.
⑵ 사각깃발형과 삼각깃발형 : 아주 흔한 패턴이며 외견상 비슷하고 발생위치 측정기준이 비슷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함께 취급한다. 이 두 패턴이 있기 위한 전제조건들 가운데 하나는 직전의 급격한 가격 움직임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① 상승 사각깃발형 : 일반적으로 이 패턴은 가격급등 직후에 나타나며, 추세의 일시적 중단을 나타낸다. 그리고 기존 추세와 반대되는 기울기를 가진 2개의 평행 추세선을 가지고 있다.
② 상승 삼각깃발형 : 일반적으로 이 패턴은 가격급등 직후에 나타나며, 작은 대칭삼각형을 닮았다,
【 패턴 이해하기 - Ⅱ.추세 지속형 패턴-2 】
⑶ 쐐기형 : 모양이나 형성기간 측면에서 대칭삼각형과 비슷하나 특징은 기울기에 있다.
기존 추세의 중간에 가장 빈번하게 나타난다.
① 상승시장의 하향쐐기형 : 기존 추세의 반대되는 기울기를 가지며, 일반적으로 하향쐐기형은 상승시장이다.
② 하락시장의 상승쐐기형 : 기존 추세와 반대되는 상향기울기를 가지며, 일반적으로 상향쐐기형은 하락시장으로 간주한다.
⑷ 직사각형 : 정체지역으로 불리기도 하며 평행한 추세선을 갖는다
① 상승직사각형 : 거래범위라고도 불리며 두 수평추세선 사이에서 변동을 보인다. 상승추세에서 세 봉우리들이 3중 천정형으로 보일 수도 있다, 상승시 많은 거래량을 동반하고 하락시 적은 거래량을 동반한다면 상승추세의 지속형일 가능성이 높다.
② 하락직사각형 : 일반적으로 직사각형을 지속형으로 간주하나, 이 패턴이 3중 바닥형과 같은 반전형으로 변할 수도 있으므로 항상 주의 하여야 한다.
⑸ 머리어깨형의 지속형 : 반전형과 위아래가 거꾸로 되어 있기 때문에 혼동할 염려는 없다.
'추세기초강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추세 그리고 지지와 저항 이해하기 (0) | 2023.01.02 |
---|